메뉴 바로가기
내용 바로가기
ID 저장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예보정보
특보정보
레저스포츠
영상자료
과거기상
상세예보
장기예보
SMS서비스
지역별날씨
해상예보
공항예보
주간예보
월간예보
계절예보
세계예보
생활지수
자외선
현재날씨
슈퍼컴
부유먼지
기상특보
태풍정보
지진정보
황사정보
미세먼지
고속도로
축구
야구
골프
스키
등산
바다낚시
민물낚시
콘도
휴양림
테마파크
해수욕장
드라이브
래프팅
레이더영상
위성영상
황사분석
일기도
일별검색
일별통계
기상월표
월별검색
극값검색
어제날씨
강우집계
적설집계
한국기후
일평년값
월평년값
세계기후
상세예보
장기예보
서비스안내
서비스종류와 요금
서비스신청
서비스정보
> 고객센터 >
공지사항
기상특보 :
- 2025-07-02 16:00:00 o 폭염경보 : 경기도(가평, 하남, 용인, 이천, 안성, 여주, 광주, 양평), 강원도(강릉평지, 동해평지, 삼척평지, 양양평지, 강원남부산지), 충청남도(공주, 아산, 논산, 금산, 부여), 충청북도(청주, 옥천, 영동, 충주), 전라남도(나주, 담양, 곡성, 구례, 장성, 화순, 고흥, 보성, 여수, 광양, 순천, 장흥, 강진, 완도, 영암, 무안, 영광), 전북자치도(김제, 완주, 임실, 순창, 정읍, 전주, 남원), 경상북도(문경, 영주, 영양평지, 경북북동산지 제외), 경상남도(통영, 남해 제외), 제주도(제주도동부), 대전, 광주, 대구, 부산, 울산, 세종 o 폭염주의보 : 경기도(광명, 과천, 안산, 시흥, 부천, 동두천, 연천, 포천, 고양, 양주, 의정부, 파주, 수원, 성남, 안양, 구리, 남양주, 오산, 평택, 군포, 의왕, 화성), 강원도(속초평지, 고성평지, 영월, 정선평지, 횡성, 원주, 철원, 화천, 홍천평지, 춘천, 양구평지, 인제평지, 강원북부산지, 강원중부산지), 충청남도(천안, 청양, 예산, 태안, 당진, 서산, 보령, 서천, 홍성, 계룡), 충청북도(보은, 괴산, 제천, 진천, 음성, 단양, 증평), 전라남도(해남, 함평, 목포, 신안(흑산면제외), 진도, 거문도.초도), 전북자치도(고창, 부안, 군산, 진안, 무주, 장수, 익산), 경상북도(문경, 영주, 영양평지, 경북북동산지), 경상남도(통영, 남해), 제주도(제주도서부, 제주도북부, 제주도남부, 제주도북부중산간, 제주도남부중산간), 서울, 인천(강화군,옹진군 제외), 울릉도독도
1 기상특보
2 장기예보
3 SMS서비스
4 황사정보
5 세계예보
6 상세예보
7 골프장날씨
8 슈퍼컴예보
9 지역별날씨
조석표
일출몰시간
양음력변환
섭씨화씨변환
체감온도
불쾌지수
날씨속담
기상용어
예보용어
아이콘설명
FAQ
공지사항
Q&A
사이트맵
온실가스 농도가 증가한다
관리자
2008-12-08
세계기상기구(WMO)가 올해 11월에 발간한 온실가스 연보 제4호에 따르면, 대기 중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의 2007년 전 지구 평균 농도는 각각 383.1 ppm, 1789 ppb, 320.9 ppb로 나타나 산업혁명 이전보다(~1750년), 각각 37%, 156%, 19% 정도 농도가 증가했습니다. 2007년 한반도의 CO2, CH4, N2O의 농도는 각각 390 ppm, 1892 ppb, 321.2 ppb로 관측되었으며(기상청 지구대기감시보고서 2008), 이는 전 지구 평균 농도보다 각각 6.9 ppm, 103 ppb, 0.3 ppb 높은 농도입니다. WMO는 지구대기감시(GAW) 프로그램을 통해 전 지구 온실가스의 농도 현황 및 경향을 감시분석하고 있고, 안면도에 있는 기상청 기후변화감시센터는 GAW 프로그램의 지역급 관측소로서 주요 온실가스 5종(CO2, CH4, N2O, 염화불화탄소(CFC-11, CFC-12))을 감시 분석하고 있으며, WMO 세계온실가스자료센터(WDCGG)에 관측 결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WMO/GAW는 각 국의 전 지구 온실가스 감시망을 통해 관측한 자료를 수집하여 객관적인 분석을 거쳐 보고서 성격의 온실가스 연보를 매년 발행하고 있습니다. 이 연보에 따르면 2007년 CO2와 N2O의 증가율은 최근 수년간의 증가율과 유사하지만, CH4의 경우 1998년 이후 가장 큰 증가량을 보이고 있습니다. 몬트리올의정서에 의해 성층권 오존을 파괴하는 오존파괴물질로서 생산과 소비가 규제된 CFC-11과 CFC-12 역시 주요한 온실가스이며, 지구온난화와 관련된 CFCs의 복사강제력은 N2O의 그것보다 훨씬 큽니다. 하지만 몬트리올의정서에 따라 규제되기 시작한 이후 CFCs의 농도는 현재 서서히 감소하고 있으며, 2010년 예상되는 오존파괴물질의 농도는 CO2 배출량으로 환산할 때 연간 11 Gt으로 이 양은 쿄토협약에 의해 2008~2012까지 감축 목표로 정한 2 Gt에 비해 5~6배 정도 많은 양입니다.
 
11월 및 가을철 기후 특성
관리자
가뭄과 고온의 10월
관리자
웨더아이 - 날씨로부터의 자유, 날씨와 함께하는 행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