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내용 바로가기
ID 저장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예보정보
특보정보
레저스포츠
영상자료
과거기상
상세예보
장기예보
SMS서비스
지역별날씨
해상예보
공항예보
주간예보
월간예보
계절예보
세계예보
생활지수
자외선
현재날씨
슈퍼컴
부유먼지
기상특보
태풍정보
지진정보
황사정보
미세먼지
고속도로
축구
야구
골프
스키
등산
바다낚시
민물낚시
콘도
휴양림
테마파크
해수욕장
드라이브
래프팅
레이더영상
위성영상
황사분석
일기도
일별검색
일별통계
기상월표
월별검색
극값검색
어제날씨
강우집계
적설집계
한국기후
일평년값
월평년값
세계기후
상세예보
장기예보
서비스안내
서비스종류와 요금
서비스신청
서비스정보
> 고객센터 >
공지사항
기상특보 :
- 2025-07-02 16:00:00 o 폭염경보 : 경기도(가평, 하남, 용인, 이천, 안성, 여주, 광주, 양평), 강원도(강릉평지, 동해평지, 삼척평지, 양양평지, 강원남부산지), 충청남도(공주, 아산, 논산, 금산, 부여), 충청북도(청주, 옥천, 영동, 충주), 전라남도(나주, 담양, 곡성, 구례, 장성, 화순, 고흥, 보성, 여수, 광양, 순천, 장흥, 강진, 완도, 영암, 무안, 영광), 전북자치도(김제, 완주, 임실, 순창, 정읍, 전주, 남원), 경상북도(문경, 영주, 영양평지, 경북북동산지 제외), 경상남도(통영, 남해 제외), 제주도(제주도동부), 대전, 광주, 대구, 부산, 울산, 세종 o 폭염주의보 : 경기도(광명, 과천, 안산, 시흥, 부천, 동두천, 연천, 포천, 고양, 양주, 의정부, 파주, 수원, 성남, 안양, 구리, 남양주, 오산, 평택, 군포, 의왕, 화성), 강원도(속초평지, 고성평지, 영월, 정선평지, 횡성, 원주, 철원, 화천, 홍천평지, 춘천, 양구평지, 인제평지, 강원북부산지, 강원중부산지), 충청남도(천안, 청양, 예산, 태안, 당진, 서산, 보령, 서천, 홍성, 계룡), 충청북도(보은, 괴산, 제천, 진천, 음성, 단양, 증평), 전라남도(해남, 함평, 목포, 신안(흑산면제외), 진도, 거문도.초도), 전북자치도(고창, 부안, 군산, 진안, 무주, 장수, 익산), 경상북도(문경, 영주, 영양평지, 경북북동산지), 경상남도(통영, 남해), 제주도(제주도서부, 제주도북부, 제주도남부, 제주도북부중산간, 제주도남부중산간), 서울, 인천(강화군,옹진군 제외), 울릉도독도
1 기상특보
2 장기예보
3 SMS서비스
4 황사정보
5 세계예보
6 상세예보
7 골프장날씨
8 슈퍼컴예보
9 지역별날씨
조석표
일출몰시간
양음력변환
섭씨화씨변환
체감온도
불쾌지수
날씨속담
기상용어
예보용어
아이콘설명
FAQ
공지사항
Q&A
사이트맵
올해 5월 및 봄철 기후특성
관리자
2008-06-19
올해 5월은 평년 대비 105.8%, 봄은 82.8% 수준의 강수량을 보였습니다. 서울의 경우 2000년대 5월과 봄철 일조시간은 1910년대에 비해 약 30% 줄었습니다. 기상청이 전국 60개 지점에서 관측한 금년 5월 기상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의 경우 평균기온이 17.3℃로 평년보다 0.4℃ 높았으며, 강수량은 평균 111.9mm로 평년대비 105.8%, 강수일수는 평균 8.3일로 평년에 비해 0.2일이 적었습니다 전국의 평균 일조시간은 216.6시간으로 평년에 비해 14.4시간(6%) 줄었습니다. 서울의 경우 평균기온은 17.7℃로 평년에 비해 0.3℃ 높았으며, 강수량은 97.7mm로 평년대비 95.6%, 강수일수는 8.0일로 평년에 비해 0.8일 적었습니다. 서울의 일조시간은 213.8시간으로 평년에 비해 10.5시간(5%) 줄었습니다. 전국과 서울의 봄(3, 4, 5월)철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의 경우 평균기온이 12.5℃로 평년보다 1.0℃ 높아 1973년 이래 최고 3위를, 강수량은 평균 218.5mm로 평년대비 82.8%, 강수일수는 평균 26.1일로 평년에 비해 1.3일이 많았습니다. 전국의 경우 평균 일조시간은 612.9시간으로 평년에 비해 49.4시간(8%) 줄었습니다. 서울의 경우 평균기온은 13.0℃로 평년에 비해 1.4℃ 높아 1908년 이후 최고 3위를, 강수량은 190.1mm로 평년대비 84.5%, 강수일수는 30.0일로 평년에 비해 7.2일 많았습니다. 서울의 경우 일조시간은 609.2시간으로 평년에 비해 23.3시간(4%) 줄었습니다. 서울의 5월 1m 땅속 온도(지중온도)의 경우 평년에 비해 1.1℃, 5m의 경우 0.9℃ 상승하였습니다. 봄철 1m 땅속온도는 평년에 비해 1.4℃, 5m의 경우 0.6℃ 상승하였습니다. 기후변화의 관점에서 5월 기온의 장기변화 경향을 보면 특히 최저기온의 상승폭이 컸습니다. 전국의 2000년대 5월 평균 최저기온은 1970년대 5월에 비해 1.3℃ 상승하였습니다. 서울의 2000년대 5월 평균 최저기온은 1970년대 5월에 비해 1.5℃, 1910년대 5월에 비해 무려 3.6℃ 상승하였습니다. 서울의 2000년대 5월 일조시간은 1910년대 5월에 비해 30.4% 줄었습니다. 기후변화의 관점에서 봄철 기온의 장기변화 경향 또한 최저기온의 상승폭이 컸습니다. 전국의 2000년대 봄철 평균 최저기온은 1970년대 봄철에 비해 0.8℃ 상승하였습니다. 서울의 2000년대 봄철 평균 최저기온은 1970년대 봄철에 비해 1.5℃, 1910년대 봄철에 비해 무려 3.7℃ 상승하였습니다. 서울의 2000년대 봄철 일조시간은 1970년대 봄철에 비해 16.3%, 1910년대 봄철에 비해 29.4% 줄었습니다. 일조시간 감소의 원인은 도시화로 인한 대기 중의 먼지 등의 영향으로 사료됩니다. 일조시간이 감소하고 강수가 증가하면 질병발생률이 높아져 농작물의 생육과 농업생산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우리의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007년 낙뢰발생 현황
관리자
올 여름부터 폭염특보제 시행
관리자
웨더아이 - 날씨로부터의 자유, 날씨와 함께하는 행복